턱관절 장애 (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TMJ)는 턱
관절의 기능 장애로부터
시작하여, 두통을 포함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많은 분들이 치과에서 턱관절을 치료하는 것으로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은 카이로프랙틱 치료가 더 효과적일 때가 많이 있습니다. 턱 관절도 관절이기 때문에, 조인트의 부조화된 움직임이 주된 원인이 된다면, 카이로 프랙틱 교정을 통해서 치료가 가능 합니다. 또한, 치과적인 치료에는
구강 내부에 있는 Medial pterigoid 라는 근육이 있는데, 이 부분에 botox나 근육 이완제와 같은 약물투여로 턱관절 교정과 함께 병행할 수도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를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딱딱한 음식을 주로 드시는 분 (특히,
한국인 정서에서는 마른 오징어 등을 힘을 주어서 씹는 생활 패턴이나, 또는 껌을
주로 씹는 습관이 있으신 분이 턱관절 장애가 생기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또한, 교통 사고와
같은 외부적인 충격을 받았다던지, 허리 측만증과 같은 척추 질환이 있을 경우에도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스트레스와 같은 심인성 요인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극심한 스트레스나 긴장감으로 인해서 턱을 자신도 모르게 꽉
물고 있는 시간이 오래 지속될 경우,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 중에 심하게 이빨을 가는 일도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서 두통을 호소하고, 이빨이 상하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턱관절은 아래턱 뼈(Lower Jaw)와 머리
옆부분에 있는 측두골 (Temporal bone) 사이에
위치하여 두 뼈를
Intercondylar notch로 연결하는
관절로서, 양쪽 광대뼈
밑, 귀 바로
앞쪽에 위치합니다. 입을 벌릴 때마다 소리가 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특히 안면을 정면에서 볼 때 아래턱뼈가 좌우 대칭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특히 성장이 활발한 청소년기에는 적절한 턱관절을 관리하지 못하여 아래턱의 좌우 대칭이 이루어 지지 못하여 평생 비대칭적인 턱의 형태를 갖게 되는 안타까운 일들이 생각보다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봅니다.
카일로프랙틱 교정은 생각보다 비교적 간단하게 진행이 되지만, 정밀한 교정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턱관절 교정에 대한 경험이 많은 전문가와 반드시 상담을 받아 보시길 권하여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