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적이고 건강한 목의 형태는 옆에서 보았을 때 C –curve의 형태로서 뇌로 가는 경추 척추 동맥의 원할 한 흐름과 신경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해 주면서 충격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함으로써 뇌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 시켜 줍니다.
그러나
일자목이 되면, 목이 뻣뻣하여 지고, 목의 움직임이 제한을 받게 됨으로써 피로를 많이 느끼게 합니다.
또한 나이가 들어 가면서 경추 4번과 5번에서는 퇴행성의 조짐도 보이게 됩니다. 이러한 일자목의 단계를 지나게 되면 역커브가 되는데 이때에는 골 경화증을 초래하면서 뇌로 올라가는 척추 혈관의 흐름을 방해 할 수도 있고, 그 결과 뇌혈관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우리 신체 중에서 가장 무거운 부분은 머리 부분입니다.
수영장에서 다이빙을 할 때에도 머리가 제일 먼저 수면을 향하게 되는 것도 바로 이 이유입니다. 제일 무거운 머리가 오랜 시간 컴퓨터를 사용 한다든지, 장시간 머리를 앞으로 숙이는 자세로 오랜 시간을 지내야 하는 분들에게는 흔하게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분들은 두통을 동반 하거나, 아니면 어깨 결림 현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제가 만나본 많은 환자분들 중에서, 스스로 말씀을 하시길 ‘오십견’ 이다 ‘사십견’ 이라는 말로써 자신의 통증을 표현하는 것을 자주 듣게 됩니다.
이러한 용어는 서양 의학에서는 없는 용어이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정의가 매우 불분명하게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어깨 통증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겠지만, 일자목도 그 원인 중의 하나입니다.
일자목으로
인해서 목 뒤에서 나오는 신경이 어깨를 지나서 팔을 향해서 지나가게 되는데, 이 때 신경이 눌려서 어깨 통증을 나타낼 수가 있습니다.
이
신경이 팔에서는 3 가지의 말초 신경으로 갈라지게 됩니다.
그
역할에 대해서는 다음 편에 좀 더 자세하게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또한 어깨 통증에서는 근육을 과하게 오랜 기간 동안 사용을 하였거나, 견갑골과 연결된 조직들이 이상이 생겼을 때, 그리고 골격과 관련하여 정상 적인 범위를 벗어 남으로써 생기는 골격계의 이상으로 크게 분류를 합니다. 근육에 관해서는 rotator cuff라는 근육 집단이 있는데, 그 근육들이 너무 장시간,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게 됨으로써 만성적으로 염증이 있거나, 피로가 쌓이게 되면 이러한 어깨 통증을 호소하게 됩니다. 미용을 하시는 분, 높은 천정 부분에 팔을 들어 작업을 하시는 분, 캐쉬어 직종 등에서 오랜 시간 일을 해 오신 분들이 한결같이 이야기를 하는 부분입니다. 또한 근육뿐만 아니라, 근육과 연관된 tendon, ligament, bursa 와 같은 주변의 연결 조직이 지나치게 많이 사용 됨으로써 어깨 통증을 느끼게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어깨에 통증을 느낀다고 해서 반드시 어깨만의 문제가 아닐 수 있음을 인식하시고 전문의와 상담과 검사를 통해서 원인을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Total Care Clinic
Dr. 김 현준